눈카지노 쪽박걸 걸어 제일 먼저 찾아간 곳은 ‘간송옛집’이었다. 평소에도 시간이 나면 자주 찾는 곳이긴 하지만 눈에 덮인 모습은 자주 볼 수 없는 귀한 풍경이라 놓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 다소곳이 눈을 이고 섰던 고향의 초가지붕과 달리 지붕 가득 눈을 이고서도 처마 끝을 한껏 추켜올린 기와지붕의 당당함이 배경의 노송들과 어울려 한 폭의 그림 같아 한동안 넋을 놓고 바라보았다. 눈은 솟을대문 지붕 위에도, 담장 위에도 소복이 쌓여 카메라 프레임 속에 넣으면 그대로 한 장의 그림엽서가 되었다.
간송옛집을 일별하고 집으로 오는 대신 산길로 들어섰다. 아무도 밟지 않은 숫눈을 밟고 싶은 욕심 때문이었다. 북한산 둘레길의 한 자락인 숲길로 들어섰을 때 이미 누군가의 발자국이 찍혀 있었다. 앞서 간 사람의 발자국을 따라 카지노 쪽박걸 떠오르는 시 한 수는 조선 시대 관리이자 시인이었던 임연재 이양연의 ‘야설(野雪)’이다.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 눈 내린 들판을 걸어갈 때는/ 不須胡亂行(불수호란행) 함부로 어지러이 걷지 마라/ 今日我行跡(금일아행적) 오늘 내가 걷는 이 발자국은/ 遂作後人程(수작후인정) 뒷사람 이정표가 될 것이다.” 김구 선생이 안중근 의사 의거 39주년을 기리며 친필로 휘호하고 애송하면서부터 알려지고 유명해진 시다.
갈림길에서 정의공주묘 쪽으로 카지노 쪽박걸 잡으며 잠시 걸어온 카지노 쪽박걸 되돌아보았다. 앞서 간 사람의 발자국을 따라 걸었음에도 발자국이 어지럽다. 황지우 시인은 ‘눈보라’라는 시에서 ‘오류 없이 깨달음 없듯/ 지나온 카지노 쪽박걸/ 뒤돌아보는 사람은 지금 후회하고 있는 사람이다’라고 했다. 같은 카지노 쪽박걸 걸어도 찍히는 발자국은 조금씩 다를 수밖에 없는 게 인생이다. 크게 카지노 쪽박걸 벗어나지만 않는다면 조금은 어긋났다 해도 그리 나무랄 일은 아니다. 소나무 가지에 쌓인 눈도 보고, 갈참나무 줄기를 타고 오르는 청설모와 나무와 나무 사이를 나는 까마귀의 날갯짓을 보다 보면 조금씩 어긋나는 건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다. ‘감사는 천국, 비교는 지옥’이란 말이 있다. 남과 비교하며 자신을 탓하기보다 자신이 걸어온 길에 만족하고 무탈함에 감사할 수 있다면 결코 부끄러울 게 없는 당당한 삶이라 할 수 있다.
아무도 걷지 않은 눈카지노 쪽박걸 걷는 것은 매우 조심스럽다. 매일 걷던 길이라 해도 쌓인 눈에 가려져 어떤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긴장을 늦추거나 한눈을 팔면 미끄러지거나 넘어져 다치기 쉽다.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게 아니라 살아남은 자가 강한 자'라는 말처럼 눈길에서는 끝까지 무탈하게 걸어온 자가 똑바로 걷는 자보다 한 수 위라 할 수 있다. 무사히 둘레카지노 쪽박걸 빠져나와 집으로 오는데 다시 눈발이 흩날린다. 나는 습관처럼 문정희 시인의 시 ‘겨울 사랑’을 입속에 넣고 웅얼거렸다. “눈송이처럼 너에게 가고 싶다./ 머뭇거리지 말고/ 서성대지 말고/ 숨기지 말고/ 그냥 네 하얀 생애 속에 뛰어들어/ 따뜻한 겨울이 되고 싶다./천년 백설이 되고 싶다.”

백승훈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