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꽁 머니
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슬롯 꽁 머니 사업 전면 추진하는 네이버, 웹툰에선 '한 발 빼기'

글로벌이코노믹

슬롯 꽁 머니 사업 전면 추진하는 네이버, 웹툰에선 '한 발 빼기'

"슬롯 꽁 머니 그림이 싫어요"…일러스트·웹툰 업계 지속되는 논란
"안 쓴 척 하는게 문제일 뿐" 반론도…사회적 합의 필요
사진=슬롯 꽁 머니웹툰이미지 확대보기
사진=네이버웹툰
네이버가 세계 IT 업계의 화두인 '생성형 인공지능(슬롯 꽁 머니)' 사업을 전면 추진하는 가운데 핵심 콘텐츠 사업인 웹툰 분야에선 오히려 슬롯 꽁 머니 도입을 자제하는 정반대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업계인·독자층의 슬롯 꽁 머니에 대한 반감을 염두에 둔 조치로 풀이된다.

최근 업계 내에선 네이버웹툰이 작가들에게 슬롯 꽁 머니 이미지 생성기 활용을 자제할 것을 요구했다는 주장이 수차례 제기됐다. 네이버웹툰 측에 이를 확인한 결과 "정식 연재 작가들을 대상으로 생성형 슬롯 꽁 머니 활용을 지양할 것을 요청드리고 있다"고 답했다.

실제로 최근 네이버웹툰이 진행 중인 콘테스트 '2023 네이버웹툰 지상최대공모전'에서도 비슷한 조치가 취해졌다. 해당 콘테스트는 올 5월부터 7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심사를 진행, 대상 기준 5000만원의 상금과 정식 연재·매니지먼트 기회를 주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사측은 1차 심사를 마무리한 시점인 5월 31일, 2차 심사 시점부턴 생성형 슬롯 꽁 머니를 활용할 수 없도록 조치했다. 사측은 이에 관해 "생성형 슬롯 꽁 머니를 활용한 작품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네이버웹툰의 이 같은 조치는 본사의 슬롯 꽁 머니 관련 행보를 거스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네이버는 일찍이 2021년 5월, 한국어에 특화된 초대형 슬롯 꽁 머니 '하이퍼클로바'를 공개했다. 올 여름에는 '챗GPT' 개발사 오픈슬롯 꽁 머니가 3월 선보인 최신형 슬롯 꽁 머니 'GPT-4'에 대응하는 '하이퍼클로바X'를 올 7월 안에 선보일 계획이다.

하이퍼클로바를 중심으로 한 슬롯 꽁 머니가 적용되는 분야는 매우 넓다. 검색 엔진과 블로그 등 기초적인 포털 서비스는 물론 '스마트스토어 솔루션' 등 커머스 분야, 네이버클라우드 기반 B2B 서비스, 모빌리티 분야의 자동 주행까지 슬롯 꽁 머니 도입에 힘쓰고 있다.

콘텐츠 분야에도 슬롯 꽁 머니가 활용된다. 핵심 미래 사업으로 꼽히는 메타버스 '제페토'가 대표적이다. 사측이 8일 공개한 바에 따르면 제페토의 아바타 제작 기능에 생성형 슬롯 꽁 머니를 도입, 한 장의 사진만으로 자신과 닮은 아바타를 제페토 오리지널·애니메이션·피규어·캐릭터 등 4개 테마에 맞춰 생성할 수 있다.

제페토의 슬롯 꽁 머니 아바타 제작 기능 업데이트 안내 이미지. 사진=네이버제트이미지 확대보기
제페토의 슬롯 꽁 머니 아바타 제작 기능 업데이트 안내 이미지. 사진=네이버제트

이렇듯 다양한 분야에 슬롯 꽁 머니가 적용되고 있으나 유독 웹툰에만 슬롯 꽁 머니 도입을 주저하는 이유는 웹툰 작가를 위시한 일러스트레이터들이나 독자층 중 상당수가 슬롯 꽁 머니 그림에 반대하고 있다는 점이 지목된다.

슬롯 꽁 머니 이미지 제작기가 대중에 공개된 시점은 오픈슬롯 꽁 머니가 '달리(DALL-E)'를 선보인 2021년이지만 이들이 보다 대중화된 때는 이듬해 8월 딥러닝, 텍스트-이미지 모델인 '스테이블 디퓨전'이 등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10월 '노블슬롯 꽁 머니 이미지 제작기'가 출시된 시점이다.

이들은 콘티나 밑그림 수준의 이미지는 물론, 텍스트만으로 그럴듯한 그림을 제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으며 이용 요금은 노블슬롯 꽁 머니 기준 1회 제작 당 1센트(약 13원)다.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10번 생성한다고 가정하면 130원만으로 1분이 채 안 걸리는 단시간 만에 양질의 일러스트를 찍어낼 수 있는 셈이다.

자연히 이들 슬롯 꽁 머니 서비스를 악용, 슬롯 꽁 머니의 도움을 받았다는 것을 숨기고 '그림 실력자'인 것처럼 활동하다 적발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심지어 라이브 방송 중인 일러스트레이터의 밑그림을 슬롯 꽁 머니 제작기에 입력, 방송이 끝나고 완성된 그림을 두고 "내 그림을 베꼈다"고 주장한 '적반하장'의 사례도 있다.

네오위즈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의 곡 'Stay Alive'의 배경 영상. 사진=디제이맥스 공식 유튜브이미지 확대보기
네오위즈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의 곡 'Stay Alive'의 배경 영상. 사진=디제이맥스 공식 유튜브

슬롯 꽁 머니 일러스트가 고객들의 반발로 이어진 사례도 적지 않다. 리듬 게임 '사이터스'로 유명한 대만의 레이아크가 대표적인 사례다. 올 4월부터 공식 이미지에 슬롯 꽁 머니가 활용된 흔적이 계속 발견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한국의 시프트업도 올 초 '승리의 여신: 니케' 프로모션 이미지 중 손가락이 4개만 표현된 그림이 발견돼 '슬롯 꽁 머니 제작' 의혹을 받았다. 이에 회사 차원에서 "게임 관련 일러스트는 모두 사람이 직접 그린다"고 해명에 나서야 했다.

다만 이러한 슬롯 꽁 머니 일러스트에 대해 "사용해놓고 아닌 척하는 기만이 문제일 뿐, 슬롯 꽁 머니 자체는 문제가 없다"는 반론도 있다. 일례로 최근 네오위즈는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5)'에서도 곡의 배경 영상(BGA) 제작에 슬롯 꽁 머니를 활용했다. 사측이 "슬롯 꽁 머니호러 무비라는 콘셉트에 맞춰 의도적으로 슬롯 꽁 머니 화풍을 느끼게 했다"고 알리자 오히려 호평을 받았다.

웹툰 업계 관계자는 "더 많은 혼란을 막기 위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상황이나, 생성형 슬롯 꽁 머니 도입에 찬성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 모두 일리가 있다 보니 합의가 더욱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네이버 등 대형 플랫폼 차원에서도 이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라고 전했다.


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naver.com